[참고] 통계청 7월 고용동향 함의
	
		
			
				
				김종진				
				
				
				0
				
				
				4,557
				
					
					2018.08.25 07:17				
			
		 
	   
	 
	
	
	
		□ 자료 
  : 통계청 매월 고용동향 발표자료 ‘2018년 7월 고용동향’
□ 특징 
  : 취업자 감소는 ‘최저임금 인상’ 보다, 산업구조/ 내수경제 침체요인 봐야 함
    → 취업률 하락 : 제조광공업, 음식숙박업, 임시일용직이 전년 대비 다수
    → 문제는 최저임금 인상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의 해석 여부
      가. ‘고용원 있는 자영업’ :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 (전월 대비 미세 감소)
      나. ‘고용원 없는 자영업’ :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감소 (전월 대비 미세 증가)
    → 전년 대비 정규직 규모 증가, 임시일용 비정규직 취업자 감소(고용의 질 증가)
□ 해석
   : 결국 전년 6,470원(‘17년)에서 16.4% 인상된 최저임금 7,530원(‘18년)이 
     금년 상반기 노동시장에 미친 요인은 미약하거나 부수적인 현상으로 보여 지며, 
    지난 몇 년간 구조적인 산업경기가 심각한 영역과 경기침체 요인이 주된 영향
.......(참조)........
<고용노동부 300인 이상 대기업 고용형태공시제>(2018.3)
1) 지난 1년 사이(‘17년 3월-’18년 3월) 재벌 대기업 롯데와 삼성 2만명 감소
- 롯데 전체 고용 규모  6천명 감소
- 삼성 전체 고용 규모 1만4천명 감소
2) 지난 1년 사이(‘17년 3월-’18년 3월)  경남과 울산 300인 이상 대기업 7만3천명 감소 (조선업 등 제조업 장기 침체 구조조정)
가 . 경남 19만 7천명 → 15만 2천명 
     : 4만 5천명 감소 (정규직 1만 1천명, 비정규직 3만 4천명)
나. 울산 9만 7천명→ 7만 9천명
    : 1만 8천명 감소 (정규직 7천 명, 비정규직 1만 1천명)	
	
	
			 7월 고용동향, 최저임금, 소득주도성장, 일자리, 고용동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