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소의창 6 페이지 > 한국노동사회연구소

연구소의창
[연구소의 창] (시론)유령노동의 출현
2020-02-24 | 조회수 : 2371
#. 이글은 2020-02-19 06:00 『뉴스토마토』 '(시론)유령노동의 출현'에 실렸던 글 입니다. [기사링크] 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 디지털사회의 도래는 시나브로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꾸고 있다. 온라인쇼핑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매출을 추월했고, 젊은 사람들은 식당 밥이 아닌 배달음식에 익숙…
[연구소의 창] (시론)노조조직률의 사회적 함의
2020-01-21 | 조회수 : 2851
#. 이글은 2020-01-17 06:00 『뉴스토마토』 '(시론)노조조직률의 사회적 함의'에 실렸던 글 입니다.  [기사링크]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2019년 12월 고용노동부는 ‘2018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’을 발표했는데 2018년 말 기준 우리나라 …
[연구소의 창] 혁명가 이재유가 던지는 물음들
2019-12-09 | 조회수 : 3319
작성자: 김금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명예이사장   우리 민족에게는 이루 말할 수 없이 어둡고 괴로운 시기가 있었다. 일제 강점기 특히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가 그러했다. 이 시기에 일제의 폭압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를 바탕으로 민족의 자주 독립과 노동 해방을 위해 투쟁한 ‘당대 최고의 혁명가&rsqu…
[시론] 온전한 비정규직 실태 파악을 위하여
2019-12-03 | 조회수 : 2620
[시론] 온전한 비정규직 실태 파악을 위하여 /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(한겨레신문 2019.12.3)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661만명이던 비정규직 노동자가 올해 8월에는 748만명으로 87만명 증가했다. 전 체 노동자를 100이라 할 때 비정규직 비율은 33.0%에서 36.4%로 3.4%포인트 증가했다. 한해 87만명에 3.4%포인…
[연구소의 창] (시론)0.1% = 27%
2019-11-11 | 조회수 : 2420
#. 이글은 2019-10-08 06:00 『뉴스토마토』 '(시론)0.1% = 27%'에 실렸던 글 입니다.  [기사링크]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대통령의 임기가 반환점을 돌았다. 역대 정부와 비교하면 안정적인 지지율을 보이고 있지만, 현 정부에 대한 높은 기대감은 시나브로 실망감으로…
[연구소의 창] 직무급제 도입은 노동시장 불평등의 해법이 아니다
2019-10-14 | 조회수 : 3593
제목: 직무급제 도입은 노동시장 불평등의 해법이 아니다 필자: 신원철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교수, wcshin@pusan.ac.kr  기획재정부는 2019년 9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서 공공기관에 직무급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다시 확인했다. 지금까지 한국석유관리원, 새만금개발공사,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3개 공공기관에 직무급이 …
[연구소의 창] 사회적 대화의 복원
2019-10-08 | 조회수 : 2448
#. 이글은 2019-10-08 06:00 『뉴스토마토』 '(시론)사회적 대화의 복원'에 실렸던 글 입니다.  [기사링크]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경제사회노동위원회(경사노위)가 1기를 마감하고 2기 출범을 준비 중이다. 문재인대통령은 9월20일 경사노위 상임위원…
[연구소의 창] ‘길 위의 추석’ 보낸 비정규직 노동자들
2019-09-17 | 조회수 : 2599
#. 이글은 2019-09-17 02:00 『뉴스토마토』 '(시론)‘길 위의 추석’ 보낸 비정규직 노동자들'에 실렸던 글 입니다.  [기사링크] 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추석 연휴가 끝났다. 예년에 비해 짧은 기간과 혼잡한 고향길이었지만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.…
[연구소의 창] 디지털 경제와 노동의 미래
2019-08-30 | 조회수 : 2465
#. 이글은 2019-08-29 06:00:00 『뉴스토마토』 '(시론)디지털 경제와 노동의 미래'에 실렸던 글 입니다.  [기사링크] 작성자: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 출근 시간대 가장 많은 사람이 하차하는 역은 가산디지털단지역이다. 가산디지털단지는 구로 2, 3공단이 있었던 공장 …
[연구소의 창] 주거복지의 대중모델을 위하여
2019-08-05 | 조회수 : 2661
작성자: 최경호 한국 사회주택협회 이사/정책위원장EMAIL: kh@socialhousing.kr  최저임금이 아무리 오르고 기본소득이 도입된다고 한 들, 집주인이 임대료 올리면 다 무소용이다. “왜 가격을 올리느냐”는 항변에 위수지역의 모텔과 피씨방 주인들은 “군인 월급이 올랐기 때문&rd…