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소의창 2 페이지 > 한국노동사회연구소

연구소의창
[추모사] 동야(東野) 김금수 선생님을 보내며…
2022-11-07 | 조회수 : 888
[추모사] 동야(東野) 김금수 선생님을 보내며… 김금수(1937.12.25. ~ 2022.10.25.) 경상남도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고등학교를 다니고 졸업했다. 해방 이듬해 농민들이 ‘농민에게 땅을 달라’며 시위하다 파출소에 잡혀가 맞는 것을 보며 사회의식을 키웠고, 고등학교 2학년 때 <암장>이라는 독서모임을 만들었다.&nbs…
[연구소의 창] 중대재해'처벌법' 입니다.
2022-11-07 | 조회수 : 1098
[연구소의 창] 중대재해'처벌법' 입니다.작성: 박채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지난 10월 15일, SPC 계열사 SPL 평택 공장에서 끼임 사망사고가 발생했다. 그 후에도 경기도 안성 물류창고 추락 사고, 대구 아파트 신축공사장 추락 사고, 서울 월드컵대교 공사 현장 사고, 경북 아연 광산 매몰 사고 등 산업재해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. 중대…
[연구소의 창] 더 나은 논의를 위해 버려야 할 것들
2022-10-11 | 조회수 : 952
[연구소의 창] 더 나은 논의를 위해 버려야 할 것작성: 윤자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일상생활을 소화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고 있다. 그 중 첫 번째가 ‘언론보도 보고 감정 조절하기’다. 첫 번째라는 것은 가장 많이 시도하지만 잘 안 된다는 의미다. 언론에서 선택하는 단어와 논조 그 자체에 분노할 때도, 사건 자체의 참담함에 슬퍼하고 분노할 때도, …
[연구소의 창] 중대재해처벌법의 진정한 목적을 좇기 위해서는
2022-09-05 | 조회수 : 1232
[연구소의 창] 중대재해처벌법의 진정한 목적을 좇기 위해서는작성: 박채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​중대재해에 관한 이야기가 들려오면 머릿속이 복잡해진다. 이 사업장에서 어떤 사고가 일어났는지, 몇 명이 재해를 입었는지,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인지 등 ‘법률적 계산’이 앞선다. 계산이 끝나고 나면 ‘도대체 왜 일하다 죽어야 하는가?’에 대한 난제(難題)를 마주…
[연구소의 창] 코로나19 이후의 도서관 풍경
2022-08-08 | 조회수 : 1184
[연구소의 창] 코로나19 이후의 도서관 풍경작성: 윤자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​같은 동네라도 사람에 따라서 인식하는 공간은 다를 것이다. 내가 인식하는 ‘우리 동네’는 주로 돈을 쓰는 곳이다. 퇴근길에 들러 뭐든 하나는 꼭 사고 마는 마트, 일주일에 두 번은 가려고 애쓰는 킥복싱 체육관, 조깅 겸 산책 코스인 동네 공원, 가장 가까운 시간 영화 예매…
[연구소의 창] 협동조합 안의 노동조합: 협동조합 내 민주주의 실현에 대한 고민
2022-07-11 | 조회수 : 1408
[연구소의 창] 협동조합 안의 노동조합: 협동조합 내 민주주의 실현에 대한 고민작성: 이정봉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객원연구위원​협동조합의 유행은 계속되고 있다. 우리나라 협동조합은 2021년 말 기준 약 2만 2천개이고, 해산된 협동조합까지 포함하면 약 2만 5천개가 설립되었다. 기존 특별법 하에 설립된 농협, 신협,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등이 아닌 2012년 1…
[연구소의 창] 윤석열 정부 노동정책 전망과 대응 과제
2022-06-13 | 조회수 : 2151
[연구소의 창] 윤석열 정부 노동정책 전망과 대응 과제작성: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는 한국 사회의 정치사회는 물론 시민사회 전반에 다양한 과제와 시사점을 준 결과로 볼 수 있다. 특히 보수정부 집권 이후 향후 5년 동안 추진될 국정과제 각 영역별 위험성도 적지 않다. 윤석열 정부 출범은 향후 5년이 아닌, 그 이…
[연구소의 창] 전환기의 노동운동, 어디로 가야 하나
2022-05-09 | 조회수 : 1632
[연구소의 창] 전환기의 노동운동, 어디로 가야 하나작성: 이주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문재인 정부가 가고 윤석열 정부가 온다. 기존 정치 권력의 연장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 권력의 등장이다. 양 정부의 국무위원들은 노동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서로 크게 다르다. 노동운동 조직이 이러한 정치 권력 전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전 시기를 평가하고 …
[연구소의 창] 최저임금 시즌-36
2022-04-11 | 조회수 : 1636
[연구소의 창] 최저임금 시즌-36작성: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최저임금 시즌이 돌아왔다. 1988년부터 시작된 최저임금제가 벌써 시행 35년을 지나 36번째 심사에 돌입하였다. 그동안 최저임금은 우리 노동자의 생계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척도로 발전하였다.먼저, 그동안의 양적인 성장을 보면 1988년 시급 462.5원이던 것이 2022년 9,…
[연구소의 창] 20대 대선 이후 노동운동의 과제
2022-03-14 | 조회수 : 1810
[연구소의 창] 20대 대선 이후 노동운동의 과제작성: 이원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. 결과는 야당인 국민의 힘 윤석열 후보의 당선. 선거의 의미나 과정에 대한 분석, 평가는 앞으로 많이 쏟아져 나올 것이다. 주요 지표들을 대충 정리하면 투표율 77.1%에 사전투표율은 36.5%로 역대 최고, 당락 득표율은 불과 0.73%(2…